가족같은 우리 반려견… 사람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계신가요? 다른 집 강아지와 다르게 우리 강아지는 어떤 성격인지, 내가 잘 키우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반려견 성향검사 DBTI는 포동의 약 1만 건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만든 16가지 성향 분석으로, 강아지의 눈높이로 강아지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포동 반려견 성향분석(DBTI)은 우리 강아지와 보호자 님이 함께 행복해지기 위한 검사에요.
사람들도 상대방의 성격에 맞추어 소통하고 장난에도 수위 조절을 하는 것과 같이, 반려견 역시 개체별 성격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맞게 기르는 것이 보호자님과 반려견이 함께 행복해 지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이번 프로젝트의 배경입니다.
반려견이 우리에게 보내는 시그널은 사람의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나의 반려견에 대해 잘못 이해하여 잘못된 양육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짖는 행동에도 낯선 장소에 대한 적응이 어려워서, 원초적인 공격성 때문일 수도 아니면 소심한 본성에 의한 방어적인 목적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원인이 있고 이를 해결하는 방식 역시 다릅니다.
반려견은 사람처럼 지속적인 교육과 사회활동을 경험하지 못하고 주로 보호자의 가족 구성원 위주의 제한적인 관계로 사회화의 경험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조사를 통해 강아지의 성격을 다각도로 이해하고 그에 맞게 양육하여 반려견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밝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포동 반려견 성향분석(DBTI)의 분석기준을 이해해볼까요?
포동 반려견 성향분석(DBTI)는 우리 강아지의 주요 성향을 다음 4가지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1. 야생성(Proto-dog)
우리 강아지는 반려견으로서 교감능력(C)이 강할까? 아니면 개로서의 본능(W)이 강할까?
야생성(Proto-dog)은 강아지가 사람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교감 성향(Community)과 강아지가 가지고 있는 본능 성향(Wild) 중 어느 쪽이 강한지 판단하는 기준이에요.
2. 의존성(Dependency)
우리 강아지는 나에게 의존하거나 신뢰(T)할까? 아니면 자기가 필요(N)할 때만 나와 교류할까?
의존성(Dependency) 은 개와 사람의 관계성을 판단하는 척도로, 사람을 믿거나 의존하는 등 신뢰(Trust) 하는지 아니면 자기가 필요할 때에만 소통하는 등 소통에 소극적인, 필요(Necessary)의 대상으로 보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요.
3. 관계성(Relationship)
우리 강아지는 다른 강아지에게 외향적(E)일까? 아니면 혼자 있는 것이 좋은 내향적(I)일까?
관계성(Relationship)은 개들 간의 관계성을 판단하는 척도로 다른 개에게 외향적(Extroversion)인지, 또는 내향적(Introversion)이어서 피하고 싶어하는 지를 판단해요.
4. 활동성(Activity)
우리 강아지는 새로운 장소에서 모험(A)하며 적응하려 할까? 아니면 적응하지 않고 안주(L)하려 할까?
활동성(Activity)은 개가 새로운 환경에 얼마나 쉽게 적응을 하는지를 판단하는 척도로 적극적으로 모험(Adventure)하는지, 아니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 하지 않고 현실에 안주(Lazy) 하는 지를 판단합니다.
포동 반려견 성향분석(DBTI), 이렇게 이용해보세요.
포동 반려견 성향분석(DBTI)은 본능성향, 환경 적응력, 개와 사람 간의 관계를 통한 사회화 정도를 기반으로 반려견의 성향을 분석하였으며 , 그에 따른 반려견의 전반적인 성격과 유의사항 그리고 그에 맞는 양육 방법을 제시해 드립니다 .
또한 현재 반려견의 행복도, 보호자 점수, 활동에너지, 교감능력, 산책지수를 알려드립니다.